티스토리 뷰

무료 건강검진 안내 썸네일

국가에서 제공하는 무료 건강검진 제도는 우리 건강을 지키는 가장 확실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정작 내가 대상자인지, 언제 어떻게 신청해야 하는지 모르는 경우가 많죠. 2025년 건강검진 대상자 기준부터 신청 방법, 검진 항목, 검사 가능 병원 찾는 법까지 오늘 이 글에서 한 번에 정리해 드립니다.

 

1. 무료 건강검진 대상자 기준 (2025년)

  • 일반 건강검진 대상자: 만 20세 이상 지역가입자, 직장가입자, 세대주 및 피부양자
  • 암 검진 대상자: 위암, 대장암, 간암, 유방암, 자궁경부암 등 연령별/성별 기준 충족자
  • 특정 대상자: 차상위 계층, 기초생활수급자, 장애인, 희귀 난치성 질환자 등

※ 연도별 출생 연도에 따라 홀수/짝수년 구분되어 초청장이 발송됩니다.

2. 지원 내용 및 항목별 구성

검진 종류 검사 항목 대상 연령
일반검진 신장, 체중, 혈압, 혈액, 요단백, 시력, 청력, 흉부X선 등 20세 이상
구강검진 치아 상태, 잇몸질환, 구강위생 상태 등 20세 이상
위암 위내시경 또는 위장조영술 40세 이상 2년 주기
대장암 분변잠혈검사(FOBT) 50세 이상 매년
자궁경부암 세포검사(Pap smear) 20세 이상 여성 2년 주기

3. 신청 방법

  1. 건강검진 대상 초청장 수령 (국민건강보험공단에서 우편 발송)
  2. 검진 가능한 병원 검색: 건강보험공단 건강 iN 홈페이지
  3. 전화 예약 후 방문: 병원별 예약제 운영 여부 확인 필요

휴대폰 간편 인증으로도 본인 대상 여부 및 병원 조회가 가능합니다. 검진은 공단 지정 기간 내 반드시 수검해야 하며, 미수검 시 추후 보험료 가산 요인이 될 수 있습니다.

무료건강검진 안내 이미지

4. Q&A – 자주 묻는 질문

Q1. 건강검진 초청장을 받지 못했는데요?
건강보험공단 홈페이지 또는 고객센터(1577-1000)를 통해 대상 여부 확인 가능합니다.

Q2. 직장가입자인데 건강검진 따로 받아야 하나요?
직장검진이 시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단 검진으로 별도 예약 필요합니다.

Q3. 검진 결과 이상 소견이 있으면 어떻게 하나요?
2차 정밀검진 병원에 바로 연계되며, 본인 부담금 없이 검사받을 수 있습니다.